게이머를 위한 선도적인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인 레이저™(RAZER™)는 CES 2025에서 열선 및 냉방이 통합된 최초의 게이밍체어인 ‘Project Arielle’와 기존 라인업의 연장선인 ‘Razer Iskur V2 X’ 등 게이밍을 재정의할 혁신적인 게이밍체
문예출판사는 오는 21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 위치한 진부책방 스튜디오에서 작가이자 독서가, 에세이스트인 장정일 작가를 초청해 장 주네의 두 번째 소설 ‘장미의 기적’ 출간 기념 강연회를 진행한다. 문예세계문학선 리뉴얼과 함께 기획된 ‘별별고전’의 첫 번째 강연이다.
도서출판 은누리가 전자책 ‘무지갯빛 코카서스’를 펴냈다.아제르바이잔에는 ‘손님이 집에 들어오면 축복이 따라온다’라는 속담이 있다. 최근 들어 여행자들에게 주목받는 코카서스 3국은 어떤 이에게는 힐링 여행지로, 어떤 이에게는 동서양 문명의 교차로를 보여주는 현장으로, 또
한국 전통불교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 유일 전통불교문화산업 비즈니스 플랫폼 ‘2025서울국제불교박람회(Seoul International Buddhism Expo, 약칭 BEXPO 2025)’ 및 ‘제13회 붓다아트페어(The 13th Buddha Art Fair)
밴드 2Z(투지)가 극과 극 반전 매력이 담긴 티저 영상으로 컴백 열기를 끌어올렸다. 2Z(호진, 뉴본, 정현, 주논, 범준)는 오는 9일 오후 6시 여덟 번째 EP ‘Glorious Youth(글로리어스 유스)’를 발매하는 가운데 지난 5일과 7일 더블 타이틀곡 티저
그룹 K4가 신곡 ‘LOVE~에니시~’로 세 번째 일본 USEN 차트 1위를 달성했다. 포레스트네트워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1일 발표한 K4(김현민, 오주주, 류필립, 조준)의 세 번째 일본 싱글 ‘LOVE~縁~(러브 에니시)’가 오늘(8일) 기준 일본 최대 유선
배우 윤재찬이 새 드라마로 안방을 찾는다. 7일 소속사 골든문 엔터테인먼트는 "윤재찬이 올해 기대작인 SBS 새 금토드라마 '트라이:우리는 기적이 된다'(이하 '트라이')에 캐스팅됐다"고 밝혔다. '트라이'(연출 장영석 / 극본 임진아)는 도핑으로 잠적한 전직 국가대표
다이나믹 듀오와 가수 거미가 1월 중 첫 컬래버레이션 신곡을 선보인다. 다이나믹 듀오(개코, 최자)와 거미는 지난 6일 오후 소속사 아메바컬쳐 공식 SNS를 통해 1월 컬래버레이션 소식을 알리는 스포일러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 티저에는 다이나믹 듀오와 거미의 이름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배우 최지우와 장동민의 딸 장지우가 만나 ‘TWO 지우’의 역사적 만남이 이루어진다. 2013년 처음 방송된 이래 12년간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슈퍼맨이 돌아왔다’(이하 ‘슈돌’)는 추성훈과 추사랑, 송일국과 삼둥이를 비롯해 이동국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이창섭이 ‘2025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이창섭은 지난 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시상식에 참석해 남성보컬 및 웹예능 MC 부문을 수상했다. ‘2025 대한민국 퍼스
글로벌 보이그룹 갓세븐(GOT7)이 본격적인 컴백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갓세븐(JAY B, 마크, 잭슨, 박진영, 영재, 뱀뱀, 유겸)의 미니 앨범 'WINTER HEPTAGON(윈터 헵타곤)' 발매를 기념해 공식 SNS를 새롭게 단장하고, 이를
LG생활건강은 인포뱅크와 함께 뷰티테크 분야에 역량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벤처투자조합을 설립했다.LG생활건강은 8일 오전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뷰티테크 펀드 조성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열고 ‘LG생활건강-인포뱅크 밸류업 벤처투자
경상남도는 8일 오후 2시 하수도시설의 질식재해 예방을 위한 시군 관계자 영상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회의는 민기식 경남도 환경산림국장 주재로 최근 창원에서 발생한 하수처리장 유해가스 질식 사망사고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하수도시설 밀폐공간 질식 재해를 예방하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바다 가치창출, 해양경제 도약’을 목표로 2025년 해양수산분야에 총 1,891억 원을 투자한다. 2024년 대비 48.9% 증가했다.분야별 투자 계획을 살펴보면, 수산업 776억 원, 해양산업 209억 원, 해녀문화유산 53억 원, 해운항만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