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소비자물가 3.3% 상승…넉 달 만에 감소세

기재부, 가격·수급동향 면밀히 점검 물가 안정 노력 지속

지난 11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올랐으나, 지난 7월 이후 넉 달 만에 상승 폭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상승했으며 전달 3.8%보다는 0.5%포인트 낮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월(4.2%)까지만 해도 4%대였지만 지속 둔화하면서 4월(3.7%) 3%대로 떨어졌고, 6월(2.7%)과 7월(2.3%)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8월(3.4%) 들어 다시 3%대로 반등해 9월엔 3.7%, 10월 3.8%로 석 달 연속 확대됐고, 11월도 전월보다 상승 폭이 소폭 줄었지만 4개월 째 3%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지난달 물가상승률 둔화는 농축수산물(전월대비 -4.9%, 전년동월대비 6.6%)과 석유류(전월대비 -3.5%, 전년동월대비 -5.1%) 가격이 전월보다 크게 하락하고 내구재 가격 상승률도 둔화(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5%)된 데 주로 기인하고 있다.


품목별로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6.6% 올랐으며 특히 농산물은 같은 기간 13.6% 올라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사과(55.5%)와 쌀(10.6%)의 증가세가 두드러진 반면, 국산쇠고기(-3.6%), 돼지고기(-2.4%)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상승했으며, 우유(15.9%), 휘발유(2.4%) 등에서 올랐으나, 경유(-13.1%), 등유(-10.4%) 등은 내렸다. 전기·가스·수도는 요금 인상으로 전기료 14.0%, 도시가스 5.6% 올라 지난해보다 9.6% 상승했다.


지난달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 개인서비스(4.2%), 공공서비스(2.2%) 등으로, 외식 물가는 전월과 동일한 4.8% 상승률을 보여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보험서비스료(12.9%), 공동주택관리비(5.4%), 구내식당식사비(5.5%) 등이 전체 상승을 이끌었으며, 반면 승용차임차료(-22.8%), 유치원납입금(-9.7%) 등은 하락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11.35(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3.3% 올라 지난 9월(3.8%) 이후 석 달 연속 하락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수인 식료품 에너지 제외 지수는 109.56(2020=100)으로 지난해보다 3.0% 올라 10월(3.2%) 이후 두 달 연속 내림세다. 이는 미국(10월4.0%), EU(10월4.8%), 영국(10월5.6%)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자주 구매하는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15.26(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 상승했다.


그중 식품은 지난해보다 5.7% 상승했고, 식품 이외 품목은 2.9% 올랐으며,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19.89(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12.7% 상승했다.


주요 물가 지표 가운데 신선식품지수만 1년 전 대비 상승 폭이 전월(12.1%)보다 확대됐다. 신선어개와 신선채소는 각 1.4%, 9.5% 상승률을 나타냈고 신선과실은 지난해보다 24.6% 올랐다.


정부는 근원물가 안정세 및 국제유가 등을 고려하면 이번 달에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나, 겨울철 기상여건, 국제유가 변동성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물가 안정기조의 조기 안착을 위해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중심으로 가격·수급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주요 불안품목에 대한 물가 안정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비즈넷미디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